반응형
트랜잭션 제어어(TCL: Transaction Control Language)트랜잭션 제어어는 트랜잭션의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작업단위를 제어하는 명령어이다.종류COMMIT, ROLLBACK, SAVEPOINT 등이 있다.COMMIT: 트랜잭션을 완료하여 데이터 변경사항을 최종 반영COMMIT 이후 데이터 상태데이터에 대한 변경 사항이 물리적인 디스크에 반영된다.COMMIT 이전 데이터는 복구할 수 없다.모든 사용자가 변경된 결과를 볼 수 있다.관련된 행에 대한 잠금(Lock)이 풀리며 다른 사용자들이 조작할 수 있다.문법COMMIT;ROLLBACK: 데이터 변경사항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명령어ROLLBACK 이후 데이터 상태ROLLBACK된 DML 문장은 메모리 상의..
데이터 조작 프로시저데이터 조작을 위해서 사용하는 언어를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이라고 하는데, SQL은 일정한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보다 쉽게 자료를 검색하고 입력, 수정, 삭제와 같은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언어를 말한다.일반적으로 SQL은 데이터 정의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제어어(Data Control Language)등의 세가지로 분류한다. 데이터 제어어(DCL: Data Control Language)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거나 회수하는 명령어들을 말한다.종류ROLE, GRANT, REVOKE 등이 있다.ROLE: 롤문법..
데이터 조작 프로시저데이터 조작을 위해서 사용하는 언어를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이라고 하는데, SQL은 일정한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보다 쉽게 자료를 검색하고 입력, 수정, 삭제와 같은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언어를 말한다.일반적으로 SQL은 데이터 정의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제어어(Data Control Language)등의 세가지로 분류한다. 데이터 조작어(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검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명령어들을 말하며, 이 명령어는 트랜잭션 제어어(Transaction Contr..
데이터 조작 프로시저데이터 조작을 위해서 사용하는 언어를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이라고 하는데, SQL은 일정한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보다 쉽게 자료를 검색하고 입력, 수정, 삭제와 같은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언어를 말한다.일반적으로 SQL은 데이터 정의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제어어(Data Control Language)등의 세가지로 분류한다. 데이터 정의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 등의 구조를 생성하고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명령어들을 말하는 것으로, 명령어 수행이 되면 이전 상태로 복귀할 수 ..
테이블 제약조건실무에서 주로 사용하는 테이블 제약조건으로는 다음 2가지가 있다. Delete Constraint: 참조된 기본 키의 값이 삭제될 경우의 처리내용을 정의한다.Cascade: 참조한 테이블에 있는 외부 키와 일치하는 모든 Row가 삭제된다. Restricted: 참조한 테이블에 있는 외부 키에 없는 것만 삭제 가능하다.Nullify: 참조한 테이블에 정의된 외부 키와 일치하는 것을 Null로 수정한다.Update Constraint: 참조된 기본 키의 값이 수정될 경우의 처리내용을 정의한다.Cascade: 참조한 테이블에 있는 외부 키와 일치하는 모든 Row가 수정된다.Restricted: 참조한 테이블에 있는 외부 키에 없는 것만 수정 가능하다.Nullify: 참조한 테이블에 정의된 외부 ..
수행 순서논리 데이터 모델로부터 물리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는 순서는, 단위 Entity를 테이블로, 속성을 Column으로, UID를 기본 키(Primary Key)로, 관계를 외래 키(Foreign key)로 변환한 후, 칼럼 유형과 길이를 정의하고, 데이터 처리 범위와 빈도수를 분석하여 반정규화를 고려하는 순서로 진행한다.단위 Entity를 테이블로 변환한다논리모델에서 정의된 Entity는 물리모델에서 테이블로 변환한다.변환방법일반적으로 테이블과 Entity 명칭을 동리하게 하는 것을 권고한다.Entity는 한글명을 사용하고, 테이블은 소스코드의 가독성을 위해 영문명을 사용한다.메타데이터시스템과 같은 사전에 표준화된 용ㅇ터가 있을 경우 메타에 등록되어 있는 단어를 사용하여 명명한다. 속성을 Colu..